문화 류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 류씨는 고려 시대에 류차달을 시조로 하여 시작된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사세오공의 벌족으로, 조선 시대에는 명문가로 이름을 떨쳤다. 주요 인물로는 류관, 유성원, 류사원, 유형원, 유득공 등이 있으며, 14개의 파로 구성되어 있다. 2008년 기준으로 약 31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서공파와 복야공파의 인구가 가장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문화 류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문화 유씨 |
한자 표기 | 文化 柳氏 |
다른 이름 | 문화 류씨 |
로마자 표기 | Munhwa Yu Ssi |
기원 | |
국가 | 한국 |
지역 | 황해도 신천군 문화면 |
시조 | 류차달 |
중시조 | 류공권 |
현황 | |
집성촌 |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전라남도 영암군, 화순군 전라북도 김제시, 남원시 충청남도 서산시, 부여군 충청북도 제천시, 보은군 |
인구 (2015년) | 327,627명 |
주요 인물 | |
상징 | |
외부 링크 | |
웹사이트 | 문화 류씨 종친회 |
2. 역사
문화 류씨는 고려 때 4대 명족, 조선 때 8대 성씨로 일컬어질 정도로 번성한 가문이다. 문화 류씨 족보인 영락보(1423년)는 우리나라 최초의 족보이지만, 실존하지 않아 안동 권씨 성화보(1476년)가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이다. 영락보 다음으로 편찬된 문화 류씨 가정보(1562년)는 현재 실존하는 족보 중에서 두 번째로 오래되었으며, 그 기록의 정확성이 높다고 평가받는다.
선산 류씨는 문화 류씨에서 갈라져 나왔는데, 선산 류씨도 문화 류씨와 같은 족보를 쓴다고 한다. 또한 진주 류씨 중 이류(移柳) 진주 류씨는 문화 류씨 시조 대승공 류차달의 10세손 류인비를 시조로 한다.
문화 류씨의 관향인 황해도 문화(文化) 고을은 남북국시대 발해와 고려 초·중기에는 유주(儒州)로 불렸고, 감무(監務)를 두어 다스렸다. 고종 46년(1259년) 위사공신(衛社功臣) 류경의 고향이라 하여 문화로 개칭하고 현(縣)으로 승격시켜 현령(縣令)을 두었다. 조선 시대에도 문화현으로 존속하다가 고종 32년(1895년)에 군(郡)으로 되었고, 이후 신천군(信川郡)에 병합되어 문화면이 되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문화 류씨는 237,314명, 문화 유씨는 90,313명으로 총 327,627명이 자신을 문화 류(유)씨 일족으로 식별했다.[1]
2. 1. 시조 및 고려시대
柳車達|류차달중국어은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할 때 군량을 보급한 공으로 대승(大丞)에 제수되었고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호를 받았다. 『문화류씨세보』에 따르면, 903년 나주 전투에서 태봉국 왕건 장군에게 가병 천 명과 군량을 제공했다고 한다.[1] 왕건의 군대에 군수 물자를 제공하여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웠다.[2][3]고려 태조 왕건이 남방을 정벌할 때 수레를 많이 내어 군량을 보급함으로써 그 공으로 대승에 제수되었고 삼한공신의 호를 받았다. 그의 아들 좌윤공(佐尹公) 柳孝金|류효금중국어이 구월산을 지나다가 큰 범을 만나 그 입 속에 걸려 있던 비녀를 빼내 주었는데, 그날 밤 꿈에 범이 나타나 이르기를, 자신은 산신령인데 무슨 물건이 목에 걸려 심히 괴롭던 중 류효금이 구해 주었으니 그 은덕으로 류효금의 자손은 반드시 대대로 경상(卿相)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7세손인 문간공(文簡公) 柳公權|류공권중국어은 고려 명종 때 정당문학(正堂文學)과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내고 문장과 글씨로 명성을 떨쳤다. 그의 아들 柳彦琛|류언침중국어과 柳澤|류택중국어으로부터 크게 두 갈래로 갈라져서 그 후손들이 현재 문화 류씨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그 후 문정공(文正公) 柳璥|류경중국어[1], 정신공(貞愼公) 柳陞|류승중국어, 장경공(章敬公) 柳墩|류돈중국어 등 수 대를 연이어 증시(贈諡)를 받아, 문화 류씨는 고려조에 소위 사세오공(四世五公)의 벌족(閥族)으로서 일찍부터 삼한갑족(三韓甲族)으로 일컬어졌다.
2. 2. 조선시대
문화 류씨는 고려에 이어 조선에서도 많은 인물을 배출했는데, 대과(大科) 급제자 134명, 음사(蔭仕)를 포함한 실직당상관 90여 명에 이르렀다.[1] 상신(相臣) 9인, 호당(湖堂) 5인, 청백리(淸白吏) 4인, 공신(功臣) 11인 등이 배출되었고, 시호(諡號)는 22장이 내려졌는데 그중 문시(文諡)는 7장이다.조선시대 주요 인물로는 청렴한 재상으로 유명한 하정(夏亭) 류관, 사육신 낭간(琅玕) 유성원, 을사사화 때 강직한 대신이었던 송암(松菴) 류관, 임진왜란 때 선무공신 문흥군(文興君) 류사원,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과 그의 아들이자 좌의정을 지낸 유봉휘, 실학자 반계(磻溪) 유형원, 발해고를 쓴 영재(泠齋) 유득공 등이 있다. 그 밖에 초야에서 학문에 전념한 유현(儒賢)과 충의효렬(忠義孝烈)로 정려(旌閭)와 복호(復戶)의 은전을 받은 사람이 80여 명에 이르고 무과 및 소과에 급제한 인물도 상당히 많다.
문화 류씨는 조선 시대 8대 반가 중 하나로 불렸다.[2] 문화 류씨의 족보인 《영락보》(1423)와 《가정보》(1562)는 안동 권씨의 《성화보》(1476) 등과 함께 한국 양반 사회에서 족보 기록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으며,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적인 족보 연구 문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3. 분파
문화 류씨는 시조 류차달(柳車達)로부터 분파되었다. 시조 류차달로부터 7세 류공권(문간공)까지는 다음과 같다.
- 2세 류효금(좌윤공)
- 3세 류금환(대장군 중윤)
- 4세 류노일(검교대장군)
- 5세 류보춘(검교소부소감)
- 6세 류총(검교소부소감)
- 7세 류공권(문간공)
8세에서는 류언침(상서공)과 류택(복야공)으로 분파되었다.
3. 1. 상서공파 (尙書公派)
류공권의 아들 류언침(柳彦沉)은 고려 때 상서를 지냈으며, 상서공파의 파조가 되었다.[1] 류언침의 아들 류순(柳淳)은 밀직사를 역임했다.[2]류언침의 후손 계보는 다음과 같다.[3]
8세 | 이름 | 관직 | 9세 | 이름 | 관직 | 10세 | 이름 | 관직 | 11세 | 이름 | 관직 | 12세 | 이름 | 관직 | 13세 | 이름 | 관직 | 14세 | 이름 | 관직 |
---|---|---|---|---|---|---|---|---|---|---|---|---|---|---|---|---|---|---|---|---|
언침(彦沉) | 상서공 | 순(淳) | 밀직사 | 성비(成庇) | 충성공 | 당(溏) | 시랑공 | 사우(司雨) | ||||||||||||
식(湜) | 상호군 | 안택(安澤) | 삼사판관 | 임(臨) | 판전농정 | 사눌(思訥) | 문숙공 | |||||||||||||
관(寬) | 문간공 | |||||||||||||||||||
희(羲) | 장령공 | |||||||||||||||||||
안우(安祐) | 군사 | 익정(益貞) | 곤산군 | |||||||||||||||||
평(坪) | 판밀직사 | 소(沼) | 판서공 | |||||||||||||||||
개(開) | 태학사 | |||||||||||||||||||
소(韶) | 추밀부사 | |||||||||||||||||||
포(浦) | 판중추 | |||||||||||||||||||
자성(資成) | 문산공 | |||||||||||||||||||
원비(元庇) | 문평군 |
3. 2. 복야공파 (僕射公派)
문화 류씨 시조는 류차달(柳車達)이다. 8세 류택(柳澤)은 복야공(僕射公)이다.세 | 이름 | 파 | 비고 | |||||||||||||
---|---|---|---|---|---|---|---|---|---|---|---|---|---|---|---|---|
8 | 류택(柳澤) | 복야공 | ||||||||||||||
9 | 류경(柳璥) | 문정공 | ||||||||||||||
10 | 류승(柳陞) | 정신공 | ||||||||||||||
11 | 류인수(柳仁修) | 중문사공 | 류돈(柳墩) | 장경공 | 류인기(柳仁琦) | 온정공 | ||||||||||
12 | 류정(柳靖) | 밀직사 | 류총(柳總) | 대언 | 류진(柳鎭) | 문화군 | 류보발(柳甫發) | 대언 | ||||||||
13 | 류만수(柳曼殊) | 좌상공 | 류원현(柳元顯) | 검한성공 | 류정현(柳廷顯) | 정숙공 | 류정무(柳廷懋) | 판사공 | 류계고(柳繼高) | 지후 | 류계조(柳繼祖) | 문화군 | ||||
14 | 류자(柳滋) | 수사공 | 류신(柳信) | 부윤공 | 류량(柳亮) | 충경공 | ||||||||||
중문지후사공파 | 좌상공파 | 검한성공파 | 정숙공파 | 판사공파 | 수사공파 | 부윤공파 | 충경공파 |
3. 3. 분관
문화 류씨는 시조 류차달(대승공)로부터 분파되었다. 2세 류효금(좌윤공), 3세 류금환(대장군 중윤), 4세 류노일(검교대장군), 5세 류보춘(검교소부소감), 6세 류총(검교소부소감), 7세 류공권(문간공), 8세 류언침(상서공), 류택(복야공)으로 이어진다.4. 인구
문화 류씨는 14개 파(派) 중 충경공파, 좌상공파, 하정공파, 검한성공파, 중문지후사공파의 인구가 가장 많다.
# | 분파 | 비율(%) | 인구(명) | 분파 | 비율(%) | 인구(명) |
---|---|---|---|---|---|---|
1 | 시랑공파(侍郎公派) | 2.94 | 9,348 | 중문지후사공파(中門祗候使公派) | 7.04 | 22,360 |
2 | 문숙공파(文肅公派) | 1.94 | 6,163 | 좌상공파(左相公派) | 15.76 | 50,059 |
3 | 하정공파(夏亭公派) | 18.43 | 58,560 | 검한성공파(檢漢城公派) | 10.28 | 32,662 |
4 | 장령공파(掌令公派) | 0.77 | 2,461 | 정숙공파(貞肅公派) | 2.63 | 8,366 |
5 | 곤산군파(崑山君派) | 5.34 | 16,962 | 판사공파(判事公派) | 1.37 | 4,357 |
6 | 문평군파(文平君派) | 2.79 | 8,874 | 수사공파(水使公派) | 0.05 | 163 |
7 | 부윤공파(府尹公派) | 0.94 | 2,983 | |||
8 | 충경공파(忠景公派) | 29.70 | 94,355 | |||
합계 | 29.43 | 102,368 | 67.77 | 215,305 |
5. 주요 인물
6. 항렬자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
근(根) 인(寅) | 口열(烈) 口걸(杰) | 지(志) 재(在) | 口선(善) 口현(鉉) | 제(濟) 호(浩) | 口환(桓) 口간(榦) | 영(榮) 황(煌) | 口곤(坤) 口헌(憲) | 종(鍾) 용(鏞) | 口영(泳) 口승(承) | 래(來) 채(采) | 口희(熙) 口로(魯) | 응(膺) 증(增) | 口호(鎬) 口구(銶) | 온(溫) 준(濬) | 口억(檍) 口락(樂) | 병(炳) 형(炯) | 口기(璣) 口재(栽) | 회(會) 회(澮) | 口우(雨) 口하(河) | 본(本) 빈(彬) | 口연(然) 口훈(勳) | 수(壽) 수(垂) | 口탁(鐸) 口갑(鉀) | 한(漢) 한(瀚) | 口동(東) 口병(秉) | 영(寧) 응(應) | 口주(周) 口요(堯) | 련(鍊) 전(銓) | 口기(沂) 口태(泰) |
참조
[1]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s://kostat.go.k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4-04-03
[2]
웹사이트
(50)문화 유씨
https://www.joongang[...]
1983-01-28
[3]
서적
A Korean scholar's rude awakening in Qing China: Pak Chega's discourse on northern learning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9
[4]
웹사이트
유재건(柳在乾)
https://rokps.or.kr/[...]
2024-04-03
[5]
웹사이트
유주현 (柳周鉉)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4-03
[6]
웹사이트
(28)문화 류씨(文化柳氏)-284,083명
http://www.seoulecon[...]
2014-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